뉴스

조회 수 11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출처 http://www.bloter.net/archives/483638

“2020년은 과거와 달리 금융권에서 가상자산(암호화폐)을 어떻게 사고, 또 어떻게 시장에 합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해였다” 조진석 KB금융 IT 혁신센터장은 27일 <디스트리트>가 주최한 ‘더컨퍼런스 2020’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날 발표에서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최신 가상자산 비즈니스 트렌드를 소개하며, 근시일 내에 금융 분야에서 중대한 변화들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image.png

 

 

이미지=Pixabay

가상자산 시장의 기류 변화…이젠 ‘기관’이 중심

요즘 업계에선 달아올라 있는 비트코인 투자 심리가 2017년 1차 투기 열풍 때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가상자산에 대한 별다른 이해 없이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움직였던 시장이 이번에는 해외 대형 금융기관 중심의 투자와 참여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선 흐름을 살펴봐도 JP모건은 2019년 5월 가상자산 거래소(이하 거래소)에 대한 계좌 발급을 허용하기로 했고 스탠다드차드 은행은 같은 해 7월 기관 대상의 커스터디(가상자산 수탁) 솔루션 제공을 시작했다.

또 지난 10월엔 페이팔의 가상자산 매매 서비스 출시, DBS은행의 거래 중개업 직접 진출 소식이 전해지는 등, 2019년과 2020년은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급격한 태도 변화가 감지됐던 시기였다. JP모건만 하더라도 한때 “비트코인은 마약상이나 범죄자들이나 사용할 엉터리”라고 대표가 직접 비난했던 시절을 떠올리면 격세지감이 느껴질 정도다.

image.png

 

조진적 KB금융 IT 혁신센터장 (이하 발표자료 갈무리)

국내에서도 변화는 시작됐다. 지난 4월 한국은행이 CBDC(국가가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법정화폐) 연구에 관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농협은행에선 커스터디 사업 진출 검토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는 특금법 개정안에 이어 세법 개정을 통해 가상자산에 대한 2021년도 과세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조 센터장이 속한 KB국민은행도 26일 ‘한국디지털에셋(KODA)’이란 민간 합작법인 출범을 통해 디지털 자산 사업에 대한 우회 진출을 선언하기도 했다. 여전히 다소 보수적인 분위기가 감지되지만, 가상자산 전반에 대해 부정적 기류가 느껴지던 과거와 비교하면 장족의 변화다. 조 센터장은 “민감한 내용이라 공개를 미뤘지만 KODA 기획과 내부 시스템은 이미 8월에 마련됐다”며 “베타테스트를 거쳐 내년 1~2월경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기관의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을 이끌어갈 주체도 개인에서 단체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해외에선 이미 전체 가상자산 투자의 88%를 기관이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 센터장은 “반면, 국내는 아직 법인의 거래소 투자가 불가능해 여전히 개인 투자자 중심이다. 개인이 자산에 대한 위험평가를 하기 어려워 투기로 변질되기 쉬운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가상자산 속에 피어난 전통 금융

현재 가장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영역은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다. 2019년 9월 전세계 디파이 시장에 예치된 자산 규모가 약 5억달러(한화 5500억원)였던 것과 비교해 2020년 9월 예치금은 132억달러(14조5600억원)로 26배 이상 증가했다. 조 센터장은 “2021년엔 예치 규모가 100배까지도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만약 은행이 직접 디파이에 참여해 거래소와 연계할 경우 지금보다 더 다양한 상품들이 개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자산을 담보로 은행 대출이 가능해지는 날이 올 수 있다. 조 센터장은 “가상자산의 유동성 때문에 담보로서의 가치가 불안정하다고 생각되지만, 앞으로 제도만 잘 갖춰지면 담보 비율 조정을 통해 한 달 이내라도 관련 상품이 나오는 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디파이를 넘어, 가상자산 영역에 진출한 금융기업들이 그리는 ‘큰 그림’은 뭘까? 조 센터장은 “전통 금융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들이 향후 가상자산 분야에서도 또 한 번 구현되는 모습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불과 6개월 전만 해도 금융권에선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커스터디 사업 정도가 논의됐다면, 지금은 어느새 디파이, 씨파이(Cefi, 중앙화 금융), 스테이킹 등 예치된 자산을 직접 운용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또 이런 흐름이라면 가까운 시일 내에 은행이 가상자산과 관련된 전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형태로도 발전하리란 것이 그의 예측이다.

이 같은 금융기관의 시장 진출과 사업 협력은 일반 소비자 혜택으로도 이어진다. 앞서 설명한 투자 플랫폼, CBDC 그리고 미래에 증권형 토큰(STO)까지 하나의 플랫폼·앱에서 이뤄지게 되면, 사용자들은 더 이상 그것이 전통 금융인지 가상자산 기반인지 알 필요 없이 더 많은 금융 편의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신뢰 형성, 경쟁을 통한 시장 확대…선제적으로 대응해야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규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지만, 그 외에도 넘어야 할 장벽들은 있다. 무엇보다 금융권과 거래소 사이의 신뢰 형성이 시급하다. 조 센터장은 “최근 공개된 특금법 시행령에서 트래블룰(자금 송수신자 간 신원 확인이 명확히 이뤄져야 한다는 규정) 적용이 1년 유예된 점 등 은행에선 여전히 거래소와의 협업에 부담스러운 지점들이 있다”며 “제3의 검증된 기관이 검증된 주소에 한해 송금을 허용하는 화이트리스트 방식 같은 대체안 적용에 대한 고민이 계속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거래소 자산의 제3자 위탁 의무화 △부실 자산의 거래소 상장 제한·폐지 기준 마련 △거래소가 가상자산을 원화로 환전할 수 있는 제도(OTC) 마련 △법인 투자자들의 시장 진입 허용 등이 안전성과 투명성 재고를 위해 남아 있는 해결 과제들로 거론됐다.

조 센터장은 다가올 변혁에 앞서 국내 기업과 정부의 신속한 대응, 그리고 건전한 경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과거 통신 3사가 유료 문자메시지를 포기하지 않다가 결국 인터넷과 카카오에 뺏긴 것처럼, 전통금융도 급변하는 가상자산 트렌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국내는 고사하고 해외 메이저 플랫폼들에게 관련 시장을 다 뺏기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KODA를 시작으로 곧 타은행들도 비슷한 형태의 사업 진출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며 “KB는 혼자 가지 않겠다. 오히려 우수한 경쟁자들과 손잡고 시장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란 포부를 밝혔다.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디파이 DEX 개발 및 프로젝트 컨설팅 file 디파이판 2020.09.05 5270
(공지) [다쏜다~이벤트] 디파이판 글쓰기왕, 조회수왕 이벤트 디파이판 2020.09.24 46124
메사리 CEO "美 정부 자본소득세 인상, 디파이 강세로 이어질 것" 디파이판 2021.04.27 120
유니스왑, V3코드가 이더리움 테스트넷에서 이용 가능 디파이판 2021.04.22 204
유럽 최대 통신사도 투자...더 커진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셀로' 디파이판 2021.04.21 179
도지코인 5일 동안 500% 올라 디파이판 2021.04.20 178
디파이로 웃는 오지스, 한국산 ‘이자농사 최적화’ 성공할까 디파이판 2021.04.19 251
타이달 파이낸스(TIDAL), 4월 19일 테스트넷 활동 시작 디파이판 2021.04.18 125
바이낸스, 코인베이스의 ‘COIN’ 토큰화 주식 상장 연기 디파이판 2021.04.15 157
태국 2위 은행 ‘카사콘뱅크’, 디파이 실험 나서 디파이판 2021.04.14 179
꺼진 불도 다시 보자, 다시 불타오르는 디파이(DeFi) 디파이판 2021.04.14 245
올해 암호화폐 상승장이 '2018년 폭락장세'와 다른 3가지 디파이판 2021.04.14 184
뉴욕증권거래소, 쿠팡 등 상장기업 '첫거래' 기념 NFT 발행 디파이판 2021.04.14 282
국내 첫 비트코인·이더리움 거래 작명권 NFT 1.6억원에 낙찰 디파이판 2021.04.14 172
팬케이크스왑(CAKE) DEX, 쿠코인과 FTX 거래소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거래량 디파이판 2021.04.13 179
태국 4대은행 ‘카시콘뱅크’, 디파이 제공을 탐구중 디파이판 2021.04.13 141
이더리움(ETH)·유니스왑(UNI), 동반 사상최고가 경신…이유는? 디파이판 2021.04.13 113
디파이 세계의 작동 원리를 해부한다 file 디파이판 2021.04.12 118
라이 파이낸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생태계와 연동 디파이판 2021.04.12 114
트릭스(TRIX), 클레이스왑 디파이 2,000만달러 돌파...APY 1위 유지 디파이판 2021.04.10 130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페이(Fei), 예상치 못한 사태로 가격 급락 디파이판 2021.04.09 123
코인베이스, 디파이 프로젝트 지원을 목표로 하는 ‘디파이 얼라이언스’ 합류 디파이판 2021.04.09 360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40 Next
/ 40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