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Extra Form
출처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1/1231764/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수장 이석우 대표(사진)가 올해 업계 키워드로 `제도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등 3가지를 꼽았다. 특히나 내년 역시 제도화를 기반으로 CBDC와 디파이가 수면 위로 떠올라 보다 공개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대표는 30일 온라인으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pbit Developer Conference, 이하 UDC) 2020에서 "올해는 특금법 개정과 함께 시행령이 나오면서 정책적인 부분에서 과세 등 여러 가지 제도의 기틀을 마련한 해"라면서 "제도화라는 큰 키워드 밑에서 CBDC와 디파이 역시 큰 키워드로 꼽힌다"고 말했다. 두나무는 이날부터 오는 4일까지 총 5일간 `블록체인, 미래의 답을 찾다`라는 주제로 UDC 2020을 진행한다. 

이 대표는 개최 첫날 오프닝 토크에서 올해 산업을 되짚으며 내년 산업을 전망했다. 그는 특히 올해 당면한 코로나19 위기가 블록체인의 시대로 전환되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표는 "코로나시대와 비대면 관계에서는 블록체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유례없는 위기를 맞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어 블록체인 기술이 많이 활용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측면이 있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프라인에서 했던 활동들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에서 진행할 때 효율성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며 "만약 주식을 코인화시켜 실시간으로 거래 할 수 있다면 정산의 개념도 사라져 24시간 거래도 가능하다"고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향후 디지털 금융과 국제 금융의 질서가 CBDC와 디파이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대표는 "앞으로는 블록체인 기술이 우리 일상에 어떤 식으로 적용되는지에 대한 실사례에 많은 관심이 쏠릴 것"이라며 "이같이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성 차원에서 CBDC와 디파이같은 금융 키워드가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최근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우리나라까지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달려들어 CBDC 관련 발표를 쏟아내고 있다"며 "기존 미국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질서와 디지털 금융 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아 굉장히 치열한 패권 싸움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블록체인 기술의 `투명성`이 보장돼야 중앙화와 탈중앙화의 간극이 좁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블록체인 기술의 철학인 탈중앙화가 현재 기존 제도의 중앙화와 양립될 수 있겠냐는 의문의 답은 곧 투명성 확보라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중앙화와 탈중앙화의 점점은 결국 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모두 오픈소스로, 핵심은 투명성"이라며 "중앙화가 됐건 탈중앙화가 됐건 투명성만 보장된다면 정부가 통제하지 않아도 자체 정화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투명성이 많이 떨어진 상태로, 실소유주를 모르는 전자지갑을 통해 테러 자금, 북한 자금 등이 오간다는 이슈 등이 거론된다"며 "지금보다 투명성이 훨씬 더 보장된다면 정부도 탈중앙화를 이해하고 보듬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디파이 DEX 개발 및 프로젝트 컨설팅 file 디파이판 2020.09.05 5157
(공지) [다쏜다~이벤트] 디파이판 글쓰기왕, 조회수왕 이벤트 디파이판 2020.09.24 45947
"39억이 하루 사이 4억 됐다"···코인 폭락장 '디파이의 배신' 디파이판 2021.05.22 147
"39억이 하루만에 4억으로" 가상화폐 금융시스템 디파이 뭐길래 디파이판 2021.05.28 173
"NFT, 안정적 담보 자산으로 디파이 생태계 키울 것" file 디파이판 2021.09.10 153
"NFT·웹3.0, 나의 시간을 상용화하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 file 디파이판 2022.04.20 110
"NFT부터 ETF까지 투자상품 다변화로 가상자산 산업 성장" file 디파이판 2021.12.21 113
"STO·NFT·디파이…블록체인과 결합한 금융, 더 큰 변화 맞을 것" file 디파이판 2021.10.14 101
"가뭄들면 보험료 자동 지급되는 세상, 체인링크가 연결합니다" 디파이판 2020.10.06 1035
"가상자산 법적지위 확보, 디파이 성장 가속" 디파이판 2021.04.05 140
"가상화폐, NFT·디파이 힘입어 주류금융으로 부상" file 디파이판 2021.12.31 101
"규제에 지쳤다"…한국 거래소 떠나는 비트코인 투자자들 [김산하의 불개미리포트] 디파이판 2020.10.25 170
"내가 곧 금융사"…디파이, 포스트 금융모델 부상 file 디파이판 2021.08.06 133
"디파이 열풍은 스쳐지나가는 것이 아닌 시대적 요청" file 디파이판 2020.10.19 125
"디파이 코인 거래지원, 거래소 아닌 알고리즘이 결정해야" 디파이판 2020.10.18 130
"디파이 통한 자금세탁 빠르게 늘어날 가능성…대비 필요" file 디파이판 2022.04.25 148
"디파이, 국제 금융 허브 도약 위한 전략적 무기" file 디파이판 2022.03.21 101
"디파이, 올해 약 2000% 성장" 디파이판 2020.11.28 129
"디파이, 전통 자산 등에 업고 성장하려면 오라클 기술 더해야" 디파이판 2020.11.07 121
"디파이, 진짜 탈중앙화 맞나?" 미국 연준 디파이 보고서 디파이판 2021.02.11 125
"디파이·NFT 근간…'이더리움' 점유율 21.4% 사상 최고" file 디파이판 2021.12.17 109
"디파이는 금융의 미래"...금융서비스 다양화 촉매로 부상 디파이판 2021.01.27 1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