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Extra Form
출처 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854

image.png

 

 

개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디파이(Defi·Decentralized Finance)'에 대한 규제 가능성을 재차 강조했다.

'디파이'란 겐슬러 위원장이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강의했던 분야 중 하나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가 아닌 블록체인 기반의 자동화 프로그램 `스마트 컨트랙트`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를 말한다. 

다시말해 사람이나 회사가 아닌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자산을 활용한 예금·대출·송금·투자 등의 금융활동을 의미한다.

19일(현지시각)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에서 지금까지 완전히 규제되지 않은 P2P(개인 간 거래) 네트워크는 (SEC의) 감독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디파이로 알려진 일부 분권형 금융 프로젝트는 SEC가 감독하는 유형의 기관처럼 보이게 하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SEC가 디파이에 대한 규제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으로 향후 적극적 개입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겐슬러 위원장은 지난 3일에도 애스펀 안보포럼에 참석해 "가상자산 금융의 세계는 이제 사람들이 가상자산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탄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가상자산을 빌려주는 단계로까지 확장됐다"며 "이런 플랫폼들은 증권법과 상품·은행 감독 규정의 감시를 받아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디파이 개발자들은 그동안 해당 프로젝트의 탈중앙적 성격 때문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과 달리 SEC의 규제가 필요없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겐슬러 위원장은 "일부 디파이 플랫폼은 SEC가 규제하는 P2P 대출 플랫폼과 비교할 수 있다"면서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가치 있는 디지털 토큰이나 유사한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디파이 프로젝트가 아무리 ‘분권화’돼 있더라도 규제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디파이 플랫폼은 어떤 면에서는 분산화될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고도로 중앙화돼 있다"고 지적했다.

겐슬러 위원장은 디파이 개발자들의 주장과 달리 해당 플랫폼에 실질적인 운영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꼬집은 것이다.

최근 업계 이목을 모았던 디파이 플랫폼 `폴리네트워크`의 해킹 사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경제 전문매체 CNBC에 따르면 약 6억달러(약 6924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은 폴리네트워크는 이용자의 자금 복구를 위해 해커들에게 50만달러(약 5억8870만원)를 지급하고 최고보안책임자 자리를 제안하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디파이 개발자들과 해당 플랫폼 운영자들이 존재하는 만큼 완전 분권화된 금융서비스가 아니다는 것이다.

겐슬러 위원장은 "오픈 소스 스프트웨어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뿐만 아니라 거버넌스를 결정하고 수수료를 부과하는 핵심 그룹이 있다"며 "이 중간에는 프로모터(유통기업)과 스폰서를 위한 인센티브 구조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업계에서는 디파이 플랫폼이 투자자들은 제대로 보호할 수 없다는 점도 SEC의 규제를 앞당길 수 있다고 분석한다.

WSJ은 "디파이 프로젝트에는 일반적으로 자금 세탁 방지나 이용자들의 신원을 확인하는 보호 장치가 없다"며 "이는 관계당국에 경고등을 켤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디파이 데이터 사이트 디파이펄스에 따르면 이날 기준 디파이에 예치된 금액은 약 820억달러(약 96조5700억원)다.

출처 : 뉴스퀘스트(http://www.newsquest.co.kr)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디파이 DEX 개발 및 프로젝트 컨설팅 file 디파이판 2020.09.05 5120
(공지) [다쏜다~이벤트] 디파이판 글쓰기왕, 조회수왕 이벤트 디파이판 2020.09.24 45914
트위터사가 NFT를 발행 file 디파이판 2021.07.07 212
블록체인-가상자산에서 경쟁했던 네이버-카카오, NFT에서도 제대로 붙는다 디파이판 2021.07.07 209
2021년 상반기 NFT 판매액 25억 달러로 급증 디파이판 2021.07.07 190
JYP, K팝 NFT 플랫폼 사업 진출…두나무와 전략적 제휴 디파이판 2021.07.07 188
국내 NFT 업계 한자리에 모였다...테크M, NFT 콘퍼런스 개최 디파이판 2021.07.07 181
은행·증권사·보험사 대체하는 암호화폐 ‘디파이’ [코린이를 위한 암호화폐 설명서 5] 디파이판 2021.07.07 166
"스테이블코인, 디파이, NFT"... 비자, 암호화폐 서비스 5명 채용 디파이판 2021.07.07 185
국제증권위원회, 가상화폐로 만든 온라인 금융상품 '디파이'와의 전쟁 시작 디파이판 2021.06.27 127
디파이 기반 암호화폐 플랫폼 스시-하모니 연대 강화 탈중앙화 거래소 경쟁 격화 마진판 2021.06.27 117
BSC 디파이 9번째 사기대출 공격...총 1200억원 피해 디파이판 2021.06.22 135
오브스(ORBS), 바이낸스 체인 팬케이크 스왑에 전격 합류 디파이판 2021.06.22 150
Piggy Finance, 런칭 2일 만에 총 예치금액(TVL) 3천만 달러 돌파 디파이판 2021.06.15 219
리플 CTO "유니스왑, 디파이 아냐"…XRP·UNI 가격 강세 디파이판 2021.06.15 195
애플·테슬라 주식도 토큰처럼 쪼개 거래…합성자산 거래소 퀀타 대표 “비싼 거래 수수료, L2로 대폭 낮췄다” 디파이판 2021.06.15 139
뜨거워지는 NFT…카카오·암호화폐 거래소도 뛰어들었다 디파이판 2021.06.08 211
정부, NFT 미술시장 점검 file 디파이판 2021.06.08 212
다중 악재 만난 코인시장…디파이, NFT 종목 영향 적어 file 디파이판 2021.06.08 191
디파이 통계는 과장됐다 file 디파이판 2021.06.08 220
디파이 개발 지원기업 임파서블 파이낸스가 알라메다 리서치, 해시드 등으로부터 신규투자를 유치했다. 디파이판 2021.06.08 217
유니스왑 v3, L2 솔루션 ‘아비트럼’으로 전개 디파이판 2021.06.07 18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40 Next
/ 40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