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Extra Form
출처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8703

image.png

 

 

코인투자자가 '디파이'를 즐기는 이유...돈이 되니까!

 

디파이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돈이 되는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이 오르면 이를 예치해 일종의 수수료를 받는다. 만약 빚을 갚지 않으면 담보로 맡긴 가상자산이 청산돼 빚이 탕감된다. 그런데 코로나19 이후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대부분 유동성에 힘입어 급격히 가격을 끌어올렸다.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무리한 레버리지로 위험한 상품을 투자하지 않는다면 아직까지 디파이 투자자는 웃고 있을 공산이 크다. 

 

무엇보다 디파이는 모든 거래 과정이 사용자의 가상자산 지갑 사이에서 개인간(P2P) 이뤄진다. 덕분에 약정기간이 없고, 본인 인증 과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며 블록체인에 분산, 보관돼 있는 개인정보의 소유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면 곧바로 오는 대출 상담 전화를 피해갈 수 있다는 얘기다. 

 

가상자산 종류마다 거래량 및 유통량에 따라 시세 변동이 심한 만큼, 이를 활용한 대출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플랫폼 간 금리차를 활용한 투자상품도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세금도 별도로 내지 않는다. 

 

그렇다고 디파이가 무조건 돈을 벌어다주는 것은 아니다. 거래과정에서의 보완점도 속속 발견되고 있다. 실제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에 의존해서 작동되므로 거래가 많아질수록 블록체인의 거래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또한 탈중앙화 시스템에 따라 개방형 블록체인에서는 보안 및 운영과 관련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다. 잦은 해킹 사건도 주의해야할 대목이다. 디파이는 중개자 없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개인 지갑이 필수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수차례 해킹 사건이 발생했다.

 

 

지금의 디파이가 걱정스러운 이유 

 

아직까지는 일부 개발자들과 극소수의 가상자산 투자자만이 디파이 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곧 탐험가인 동시에 시장의 선구자들이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 시세가 올들어 꾸준히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면서 대중들도 속속 디파이의 돈 맛을 즐기고 있다. 최근 등장한 돈키가 대표적인 사례다.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참여했던 표철민 체인파트너스 대표와 '스타 개발자'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 대표가 손을 맞잡고 내놓은 돈키는 두 사람의 인지도 덕에 빠르게 팽창하고 있다.

돈키는 영어 기반으로 어려운 과정을 요구하던 해외 디파이와 달리 국내 투자자 맞춤형 서비스라는 점에서 기존 가상자산 현물투자자들도 빠르게 디파이에 발을 내딛고 있다.  

 

그런데 규제 없이 성장한 국내 디파이 시장은 언제든 규제 칼날에 살을 베일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디파이는 책임을 지고 보증해주는 법적장치가 없다. 이제 겨우 가상자산 거래소의 '허가권'을 발급해준 상황에서 규제가 기술 성장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 특금법 도입 이후, 국내 가상자산 거래시장은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일부 사업자로 재편됐다. 추가적인 거래 사업자 및 서비스가 주목을 받을 경우, 당장은 이를 허용할 가능성아 극히 낮다는게 전통 금융권의 시각이다.  

 

실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게리 겐슬러 위원장은 최근 미국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대출 상품을 출시하지 말라" 경고한 바 있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현 정부는 금융시장에 대한 안전장치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라이선스가 없는 사업자가 금융서비스를 중개할 경우, 이를 엄단하겠다는 입장까지 내놓으며 네이버-카카오 등 인터넷 플랫폼 사업자도 눌러 앉히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증권가의 한 관계자 역시 "가상자산을 금융업의 일환으로 수용한다해도 여의도 기득권이 아닌 사업자에 당장 운영권을 줄리 만무하다"면서 "선도적 기업의 출현은 반가운 일이지만 대출 등 민감한 영역이 활성화될 경우, 이 역시 규제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디파이 DEX 개발 및 프로젝트 컨설팅 file 디파이판 2020.09.05 5279
(공지) [다쏜다~이벤트] 디파이판 글쓰기왕, 조회수왕 이벤트 디파이판 2020.09.24 46131
트위터사가 NFT를 발행 file 디파이판 2021.07.07 219
멀린 랩스 사태와 해탈한 디파이 모험가들 file 디파이판 2021.07.07 206
바이낸스 영업금지에도 흔들리지 않는 시장, 여전히 하루 100% 상승은 거뜬 디파이판 2021.07.07 206
위믹스 옥션, '리니지' 원작 만화 NFT 출품 file 디파이판 2021.07.07 299
美, 가상자산 담보대출 '블록파이' 서비스 중단 명령 디파이판 2021.07.21 143
클레이파이 출시, 클레이스왑 이용자들 수익 극대화와 편의성 강화 초점 file 디파이판 2021.07.21 200
전 세계적 CBDC 확산…함께 강화되는 ‘스테이블코인’ 규제 디파이판 2021.07.21 146
암호화폐 투자심리 위축…랠리 반전카드는 디파이·NFT? 디파이판 2021.07.23 135
미국 주정부들, 암호화폐 금융 업체 블록파이에 잇단 견제구...상장 가능? file 디파이판 2021.07.23 120
[김정우의 다이나믹 코인] '디파이 대장' 유니스왑, 차트 분석하기 file 디파이판 2021.07.23 139
[글로벌포스트] 골드만삭스, SEC에 '디파이 ETF' 승인 신청 디파이판 2021.07.28 111
디파이 규제 강화 움직임...유니스왑랩스, 일부 토큰 접근 차단 file 디파이판 2021.07.28 125
이더리움 디앱·디파이들 속속 레이어2 속으로...스케일도 본격 가동 file 디파이판 2021.07.30 116
OKExChain(OEC) DEX 및 디파이(DeFi) 프로토콜 제이스왑(Jswap) 런칭 file 디파이판 2021.07.30 97
해외거래소 차단이라니… 스테이킹 코인·유니 스왑은요? file 디파이판 2021.07.31 156
[글로벌포스트] 골드만삭스, SEC에 '디파이 ETF' 승인 신청 file 디파이판 2021.08.02 110
[마이클 케이시] 디파이는 계속 '탈중앙화'일 수 있을까? file 디파이판 2021.08.02 112
디파이 클레이파이, 출시 1주 만에 예치자산 900억원 돌파 file 디파이판 2021.08.03 112
디파이 이용 이더리움 주소 수 291만개 … 전 분기 대비 65% 급증 file 디파이판 2021.08.04 128
게리 갠슬러 SEC 위원장 "암호화폐 거래소·대출·디파이 플랫폼, SEC 등록해야" file 디파이판 2021.08.04 134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40 Next
/ 40
CLOSE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