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Extra Form
출처 https://decenter.kr/NewsView/263IM09X1Y

image.png

 

디파이(탈중앙화금융·Defi)가 등장한 지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그 사이 디파이 1.0을 넘어 2.0까지 등장했는데요, 디파이 2.0이 무엇인지 디파이 1.0과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디파이 2.0을 이해하기 위해선 기존 디파이 1.0을 이해해야한다. 디파이는 탈중앙화금융의 약자로 이더리움의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들을 말하는데, 코인이 '돈'의 개념이었다면 디파이 서비스는 코인을 화폐 삼아 운영되는 금융활동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파이는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대가로 거버넌스 코인을 지급한다다. 자산 예치 대가로 자신들의 자체 코인을 나눠주는 셈이다. 예를 들어 스시스왑에 내가 가진 코인을 예치하면 그 대가로 스시토큰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디파이는 은행과 같은 중앙화된 기간의 개입이 없다보니 그만큼 이자율도 높다. 실제 초창기의 디파이 서비스는 높은 수준의 이자율을 발판 삼아 이용자들을 끌어모았다.



토큰 인플레이션 불가피…지속 불가능한 모델이라는 비판
 

하지만 문제는 디파이 서비스가 커지면서 발생한다. 이자 지급을 위해 거버넌스 코인을 계속 발행하다보면 결국 토큰 가치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디파이 서비스가 지속하는 한 거버넌스 코인은 계속해서 발행량이 늘어난다. 결국에는 토큰 가치와 이자율이 급락하면서 많은 이용자들이 디파이 서비스를 이탈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다. 기존의 디파이 서비스 자체가 지속 불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출처=셔터스톡


디파이 2.0, 유동성 공급을 프로토콜에서 담당



이 같은 디파이 1.0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등장한 것이 바로 디파이 2.0다. 디파이 1.0과 2.0의 가장 큰 차이점은 유동성 공급 주체다. 투자자들이 직접 자신의 자산을 예치하는 디파이 1.0과 달리 디파이 2.0은 프로토콜 자체에서 유동성 공급을 담당한다.

디파이 2.0의 시초라고 불리는 올림푸스다오를 통해 살펴보자. 올림푸스 다오는 기존 디파이에는 없던 채권 시스템을 도입했다.

 

올림푸스다오는 자체 토큰인 옴(OHM)을 현재의 가격보다 싸게 살 수 있는 채권을 판매한다.

 

즉, 투자자들이 자신이 가진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것이 아니라, 할인 받아 구매하는 형태로 프로토콜에 자산을 넘겨주는 것이다. 올림푸스 다오는 채권을 판매한 수익으로 DAI 등 스테이블 코인을 매입해 탈중앙화자율조직(DAO) 소유의 금고에 넣는다.

 

이때 옴 토큰의 가격은 1DAI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Backing)된다. 디파이 1.0과 달리 토큰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지 않는 이유다. 3월 21일 현재 기준 올림푸스 다오의 APY(연간 수익율)은 무려 1,022%에 달한다.

올림푸스다오 이후 다양한 디파이 2.0 모델이 등장했다. 이들 디파이 2.0 서비스들의 공통적인 지향점은 기존에 지속 불가능했던 디파이 1.0의 한계점을 보완해 혁신적인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높은 수익률만큼이나 높은 리스크…투자 시 유의해야



그러나 한편으론 영원히 지속가능한 디파이 모델에 대한 회의론도 존재한다. 돈이 돈을 벌어다주는 구조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시각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디파이 서비스를 폰지사기, 다단계 등에 빗대어 비판하기도 한다.

디파이 2.0 투자시 높은 리스크를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디파이 2.0의 경우 뚜렷한 운영 주체가 없기 때문에 부실 운영은 물론 러그풀 위험도 존재한다. 서비스를 이용하다 해킹, 사기 등 피해를 입어 모든 자산을 잃더라도 피해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게다가 아직 초기 시장이기 때문에 수익률이 높은 만큼 스캠 등 위험성도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이다.
 

21일 코인마켓캡 기준 디파이 2.0 관련 시가총액 상위 10개 코인/출처=코인마켓캡



디파이 2.0 관련 코인에는 스펠(SPELL), 알케믹스(ALCX), 유퀴드(UQC), 올림푸스다오(OHM), 토카막(TOKE), 원더랜드(TIME) 등이 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디파이 DEX 개발 및 프로젝트 컨설팅 file 디파이판 2020.09.05 5263
(공지) [다쏜다~이벤트] 디파이판 글쓰기왕, 조회수왕 이벤트 디파이판 2020.09.24 46117
유니스왑 같은 디파이도 자금세탁방지 규제 따라야 한다고? file 디파이판 2021.04.06 159
유니스왑 사상 최고가.. 시장 정체 속 디파이 토큰 강세 file 디파이판 2021.01.28 109
유니스왑 신규버전 공개 예정…시총 8위 가상화폐 유니토큰(UNI) 30달러 회복 디파이판 2021.03.17 110
유니스왑 에어드롭, 현재까지 2.9만 명 수령 file 디파이판 2020.09.17 247
유니스왑 창업자 "디파이, 투명성 확보 外 개선 필요한 문제 많아" 디파이판 2020.10.31 141
유니스왑 토큰 UNI 출시 후 WBTC 발행량 급증 file 디파이판 2020.09.21 267
유니스왑, 17일 UNI 채굴 프로그램 종료.. $24억 향방은? file 디파이판 2020.11.13 152
유니스왑, V3코드가 이더리움 테스트넷에서 이용 가능 디파이판 2021.04.22 204
유니스왑, 가상화폐 시가총액 8위 등극…"디파이의 샤이닝스타" 디파이판 2021.03.08 112
유니스왑, 디파이 부활 이끈다?…유니(UNI) 토큰, 올해 말 암호화폐 '톱3' 가능성 file 디파이판 2021.04.08 226
유니스왑, 유동성 채굴 보상 종료 디파이판 2020.11.19 153
유럽 최대 통신사도 투자...더 커진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셀로' 디파이판 2021.04.21 179
은행·증권사·보험사 대체하는 암호화폐 ‘디파이’ [코린이를 위한 암호화폐 설명서 5] 디파이판 2021.07.07 168
은행의 가상자산수탁 진출, 거래소 위협할까 디파이판 2020.12.10 115
이더리움 2.0 스테이킹의 리스크와 보상 디파이판 2020.12.04 120
이더리움 2.0 예치금이 디파이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디파이판 2020.10.20 195
이더리움 2.0, 12월 1일 출시 확정 CME BTC 선물 오버나이트 거래 75% 증가...대선 효과 디파이판 2020.11.05 154
이더리움 400달러 회복 언제쯤…"ETH2.0·디파이 기대감 여전" 디파이판 2020.10.16 181
이더리움 450달러선 상회…"ETH2.0 출시·디파이 회복 영향" 디파이판 2020.11.09 119
이더리움 가스비 폭등 대란…클레이튼·바이낸스 스마트체인 대안 될까 디파이판 2021.02.24 127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40 Next
/ 40
CLOSE
XE Login